본문 바로가기

IT

(41)
리눅스 mkdir, rmdir, ls 명령어의 사용법 및 이해 리눅스 mkdir, rmdir, ls 명령어에 대해서 포스팅해보겠습니다. dir이란 directory 디렉토리의 약자로 사용됩니다. ls는 list를 약자로 사용합니다. mkdir 명령어의 사용법 mkdir은 make dirctory의 약자로 사용법과 옵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형식은 mkdir [option] [디렉토리 이름] 입니다. 옵션은 -p, --parents와 -m, --mode가 있고 각각은 해당 경로에 부모 디렉토리가 없으면 생성하고 허가권 설정 (chmod)의 명령어 형식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chmod 설정은 해당 블로그의 아래 링크를 따라가서 공부하시면 됩니다~!!! https://it-banana.tistory.com/43 리눅스 chmod, permission 아주 쉽게 이..
리눅스 file link, hard link, symbolic link에 대해 알아보기!! 리눅스 file link, hard link, symbolic link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ink란 말 그대로 이어준다 라는 의미로 해석합니다~!! 링크에는 크게 2가지 hard와 symbolic (soft) link가 있습니다. hard link hard link란 동일한 파일 시스템 내에서만 생성할 수 있습니다. 디렉토리에는 링크할 수 없고 파일에만 링크할 수 있습니다. 하드 링크된 파일은 동일한 i-node 주소를 갖습니다. 같은 디렉토리 안에만 있어야 하기 때문에 링크된 파일을 다른 곳으로 옮기거나 삭제할 경우 참조할 수 없습니다. 의문점이 들어서 테스트를 해봤는데 hard 링크라는 것은 같은 inode 주소를 공유함으로써 수정된 내용을 공유하지만 하나가 삭제 되더라도 다른 하나는 삭..
리눅스 chmod, permission 아주 쉽게 이해하기!! 리눅스 chmod, permission 허가권에 대해서 포스팅해보겠습니다. 허가권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ls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전에 다른 계정으로 포스팅한 내용을 가져와 봤는데 아래 링크를 살펴 보시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https://it-banana.tistory.com/42 리눅스 CLI란??? chmod란???? #!/bin/bash??? #####. CLI_GUI #. CLI - Command LIne Interface란 뜻 - 리눅스와 같이 명령어 줄로 sh를 실행하고 kernel에 명령을 내리는 모드 #. GUI - Graphical User Interface란 뜻 - 마우스와 같이 가독성 좋고 편리한 방법으로 프 it-banana.tistory.com 예제를 들어서 설명 ..
리눅스 CLI란??? chmod란???? #!/bin/bash??? #####. CLI_GUI #. CLI - Command LIne Interface란 뜻 - 리눅스와 같이 명령어 줄로 sh를 실행하고 kernel에 명령을 내리는 모드 #. GUI - Graphical User Interface란 뜻 - 마우스와 같이 가독성 좋고 편리한 방법으로 프로세스를 실행하거나 사용하는 것 #. script - Interpreter 방식의 동작을 의미 - interpreter는 명령을 한 줄 읽고 한줄 해석하고 하는 방식 - interpreter는 한줄 씩 읽어나가는 방식이기 때문에 오류 발견이 쉽고 이식성이 높다. - 예로 javascript_ python_ sql 등이 있다. - 정확하지만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 여기서 compile 방식에 대해 잠깐 얘기하자면 기계어로 ..
리눅스 users, who, w, lslogins 명령어 간단한 설명 리눅스 users, who, w, lslogins 명령어 간단한 설명에 대해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위의 명령어들은 로그인 된 사용자의 정보를 출력하는 명령어입니다. user 명령어 users 명령어를 사용하여 현재 로그인 하고 있는 사용자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현재 ssh 원격 접속 툴을 root 로 로그인해서 사용하고 있고 실제 virtual Box의 docker 계정으로 접속한 모습입니다 그래서 users 명령어를 사용하면 docker와 root가 접속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who 명령어 who 명령어의 옵션에는 -a만 설명하면 될 것 같습니다. 여기서 pts는 pseudo terminal slave의 약자로 가상 터미널 디바이스를 가리킵니다. W 명령어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가 어떤 시스템에..
리눅스 group 명령어의 이해 및 사용법 리눅스 group 명령어에 대해서 포스팅해보겠습니다~!! 그룹이란 사용자를 하나로 묶어서 관리하는 메커니즘 입니다. 리눅스에서 사용자는 그룹에 묶여있고~ GID 그룹아이디, UID 유저 아이디를 갖습니다~!!! groupadd를 통한 명령어 groupadd [options] [groupname] 옵션은 아래와 같습니다 옵션 설명 -f, --force 그룹을 생성할 때 이미 생성되어 있더라도 성공으로 간주 -r, --system 시스템 그룹을 생성 -g, --gid GID 그룹의 양수의 GID를 지정 -o, --non-unique 중복된 GID 값을 허용 groupdel의 명령어 지정한 그룹을 삭제하지만 사용자가 있다면 삭제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를 머리 삭제한 후 삭제해야 합니다. groupdel [o..
리눅스 SU 명령어에 대한 이해 리눅스 SU 명령어에 대해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SU 명령어는 Switch User의 약자로 현재 로그인 세션에서 다른 사용자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SU 명령어의 형식 su 명령어는 크게 두가지로 많이 사용됩니다. docker 라는 계정을 사용하는 입장에서 root로 전환하려고 할 경우 1. su root : 세션을 root 사용자로 전환합니다. 2. su - root : 세션을 root 사용자가 직접 로그인 했을 때와 동일하게 세션을 전환합니다. SU 명령어의 옵션 옵션 설명 -c, --command 지정한 사용자로 셸이 실행할 명령어를 지정 -, -l, --login 사용자가 직접 로그인 한 환경과 동일 -s, --shell 명시된 셀을 사용 -C 옵션을 사용한 경우 세션을 전환하지 않고 해당..
리눅스 root 계정 이해, useradd, userdel 알아봐요 리눅스 root 계정에 대해서 포스팅을 시작하겠습니다. root 계정이란??? 루트 계정이란 시스템의 모든 권한을 가진 특별 사용자이고, 보통은 시스템의 대표자가 루트 권한을 갖습니다. 시스템 접근에 대한 제한을 받지 않고 어떤 명령어든 사용 가능합니다. 리눅스 계정의 큰 3가지 분류 리눅스 계정은 크게 3가지로 분류합니다. 1. 루트 계정 = uid 0 2. 시스템 계정 3. 사용자 계정 System 계정이란??? 메일, SSH 연결 등 특정 서비스 권한을 행사 할 수 있는 계정으로 bin, deamon, adm, lp, sysc, shutdownm, halt, mail 과 같은 시스템 계정이 있습니다. bin은 바이너리의 약자 : system에서 기본적으로 필요한 명령어들이 위치합니다. deamon은..
리눅스 hostname 명령어 사용법 및 이해 리눅스 hostname 명령어 사용법 및 이해 hostname과 hostnamectl 두가지 모두 포스팅하겠습니다~! hostname 명령어란?? 시스템의 호스트 이름을 조회하거나 설정할 때 사용하는 도구 hostname 명령어의 형식 hostname [option] [hostname] hostname 명령어의 주요 옵션 옵션 설명 -a 호스트명에 대한 별칭을 출력 -d 도메인명을 출력 -f 완전한 FQDN을 출력 -i 호스트의 IP주소를 출력 -s FQDN 정보에서 첫 번째 점까지의 정보만 출력 -v 호스트 설정이나 호스트명을 자세히 출력 hostnamectl 명령어를 살펴보겠습니다~!! hostnamectl 명령어란??? 호스트 이름을 변경하기 위해 systemd가 제공하는 명령어 이 명령어를 사용하..
리눅스 ss 명령어 사용법 및 이해 리눅스 ss 명령어 사용법 및 이해에 대해서 포스팅해보겠습니다. 우선 리눅스 ss 명령어는 netstat의 상위호환 버전입니다. CentOS 7의 경우 설치 방법은 iproute2 패키지를 설치하는 것입니다. 명령어로는 yum install -y iproute2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SS 명령어란??? 소켓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도구입니다. 앞서 설명 드렸듯이 netstat에서 제공하는 기능보다 더 많은 기능이 있어서 요즘에는 netstat보다는 ss를 권장하고 사용하라고 하는 입장입니다. ss 명령어의 형식 ss [options] [filter] ss 명령어의 옵션 옵션 설명 -t, --tcp TCP 소켓 정보만 표시 -u, --udp UDP 소켓 정보만 표시 -l, --listening 연결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