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리눅스 group 명령어에 대해서 포스팅해보겠습니다~!!
그룹이란 사용자를 하나로 묶어서 관리하는 메커니즘 입니다.
리눅스에서 사용자는 그룹에 묶여있고~ GID 그룹아이디, UID 유저 아이디를 갖습니다~!!!
groupadd를 통한 명령어
groupadd [options] [groupname]
옵션은 아래와 같습니다
옵션 | 설명 |
-f, --force | 그룹을 생성할 때 이미 생성되어 있더라도 성공으로 간주 |
-r, --system | 시스템 그룹을 생성 |
-g, --gid GID | 그룹의 양수의 GID를 지정 |
-o, --non-unique | 중복된 GID 값을 허용 |
groupdel의 명령어
지정한 그룹을 삭제하지만 사용자가 있다면 삭제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를 머리 삭제한 후 삭제해야 합니다.
groupdel [option] [groupname]
gpasswd 명령어 사용자 추가 또는 제거, 비밀번호 변경
gpasswd는 패스워드 변경도 할 수 있고, 사용자를 추가 제거하는 등의 명령어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gpasswd의 옵션과 실제 활용 예제를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옵션 | 설명 |
-a, --add user | 그룹에 사용자를 추가 |
-d, --delete user | 그룹에 사용자를 제거 |
-r, --remove-password group | 그룹의 패스워드를 제거 |
-A, --administrators user | 관리자를 지정 |
타이거 계정을 생성하고 애니멀~~~~ 그룹을 생성합니다.
이후 애니멀~~~~ 그룹에 타이거를 추가하고
vi /etc/gruop의 정보를 편집기로 열어보면 아래와 같이 animallll 그룹에 tiger가 추가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확실하게 그룹이랑 유저랑 나누는 방법 상세하게 설명
실제로 cat /etc/passwd에 그룹에 소속되지 않아서 다른 방법으로
확실하게 그룹을 만들고 그룹안에 유저를 소속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실습을 위해 tiger가 아닌 다른 예제.. 음... fruit와 banana로 예를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cat /etc/passwd 명령어를 사용해서 소속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vi /etc/passwd 의 파일 구조
위의 추가된 tiger의 계정과 관련하여 /etc/passwd의 파일 구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root 계정으로 cat /etc/passwd 명령어를 입력해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에 표시된 알록달록 숫자를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사용자명 : 로그인 할 떄 사용하는 사용자의 이름
2. 비밀번호 : 비밀번호가 /etc/shadow에 보관되어 있고, 비밀번호 정책에는 MD5, SHA-256, Blowfish등의 알고리즘이 있습니다.
3. UID : 사용자에게 할당 된 유저 아이디입니다.
4. GID : 사용자가 소속된 그룹 아이디입니다.
5. 사용자 설명 : UID를 간단하게 설명할 수 있는 메세지의 단위입니다.
6. 홈디렉토리 : 최초 로그인 시 접속되는 디렉토리의 경로이며, 해당 UID의 절대 결로로 사용됩니다.
7. 사용자 셸 : 사용자가 사용하는 셸의 기본 경로를 설정합니다. 셸에는 여러가지 인터페이스가 있으며 CentOS7은 기본적으로 bash인터페이스를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CLI란??? chmod란???? #!/bin/bash??? (0) | 2023.08.05 |
---|---|
리눅스 users, who, w, lslogins 명령어 간단한 설명 (0) | 2023.08.05 |
리눅스 SU 명령어에 대한 이해 (0) | 2023.08.05 |
리눅스 root 계정 이해, useradd, userdel 알아봐요 (0) | 2023.08.05 |
리눅스 hostname 명령어 사용법 및 이해 (0) | 2023.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