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리눅스 ss 명령어 사용법 및 이해

반응형
리눅스 ss 명령어 사용법 및 이해에 대해서 포스팅해보겠습니다.
우선 리눅스 ss 명령어는 netstat의 상위호환 버전입니다.
CentOS 7의 경우 설치 방법은 iproute2 패키지를 설치하는 것입니다.
명령어로는 yum install -y iproute2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SS 명령어란???

소켓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도구입니다.
앞서 설명 드렸듯이 netstat에서 제공하는 기능보다 더 많은 기능이 있어서 요즘에는 netstat보다는 ss를 권장하고 사용하라고 하는 입장입니다.

 

 

ss 명령어의 형식

ss [options] [filter]

 

 

ss 명령어의 옵션

옵션 설명
-t, --tcp TCP 소켓 정보만 표시
-u, --udp UDP 소켓 정보만 표시
-l, --listening 연결 대기 중인 소켓 정보만 표시
-a, --all 모든 소켓 정보를 표시
-n, --numeric 주소 및 포트를 수자로 표시
-p, --processes 소켓과 관련된 프로세스 정보를 표시
-s, --statistics 통계 정보를 표시

 

ss 명령어의 실제 유용하게 사용되는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ss -an
ss -utln
이 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