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리눅스 chmod, permission 아주 쉽게 이해하기!!

반응형
리눅스 chmod, permission 허가권에 대해서 포스팅해보겠습니다.
허가권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ls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전에 다른 계정으로 포스팅한 내용을 가져와 봤는데
아래 링크를 살펴 보시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https://it-banana.tistory.com/42

 

리눅스 CLI란??? chmod란???? #!/bin/bash???

#####. CLI_GUI #. CLI - Command LIne Interface란 뜻 - 리눅스와 같이 명령어 줄로 sh를 실행하고 kernel에 명령을 내리는 모드 #. GUI - Graphical User Interface란 뜻 - 마우스와 같이 가독성 좋고 편리한 방법으로 프

it-banana.tistory.com

 

 

예제를 들어서 설명

아래와 같이 ls 명령어를 사용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와 같이 ls -al 명령어를 사용해서 파일의 권한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번의 파일의 유형은 아래의 표와 같이 분류됩니다.

 

유형 설명
d directory 디렉토리, windows 의미의 폴더
- 일반 파일
l 심볼릭 링크
b 블록 디바이스
캐릭터 디바이스
p FIFO
s 소켓

 

rwx ?? 소유권이란 무엇일까??

허가권은 파일의 유형 뒤에 소유자 허가권, 그룹 허가권, 사용자 허가권으로 나뉩니다.
각각의 허가권은 rwx로 표현이 되고 read, write, excute의 의미를 갖습니다.

 

 

 

허가권 파일 디렉토리
읽기 권한 파일의 내용을 확인하거나 복사 가능 ls 명령어 등으로 디렉토리 내에 포함된 파일 및 디렉토리 등의 확인 가능
쓰기 권한 파일의 내용을 수정 가능 디렉토리가 포함하고 있는 파일 등을 수정할 수 있고, 생성 및 삭제 가증
실행 권한 실행 가능한 파일이라면 실행 가능, 읽기, 실행 권한을 갖을 경우 셸 스크립트 사용 가능 디렉토리에 접근 할 수 있는 권한. 권한이 없다면 cd 명령어로 접근할 수 없음

 

 

 

권한 변경하기 (실습 가이드, 쉬운 이해)

chmod를 사용하여 권한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해당 명령어는 권한을 갖는 fruit 그룹의 banana또는 최상위 계정인 root만이 변경 할 수 있습니다!!

 

심볼릭의 예제

 

숫자 형식의 예제

 

 

 

chmod의 옵션

chmod의 옵션에는 위의 예제에서 사용한 -R 옵션을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그 외에 다른 옵션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옵션 설명
-R, --recursive 특정 디렉토리 내의 파일들도 재귀적으로 허가권을 변경
-C, --changes 변경된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대한 정보를 출력
-f, --quite 대부분의 에러 메세지의 출력을 제한
--reference 모드 대신에 파일에 지정한 모드를 사용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