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42)
리눅스 nmcli 명령어 알아보기 리눅스 nmcli 명령어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nmcli란??? Network Manager Command Line Interface의 약자입니다. nmcli 명령어를 사용하면 Network Manager를 실행하여 네트워크의 전체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nmcli 명령어의 형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nmcli 명령어 형식 nmcli [option] OBJECT { COMMAND | help } option은 많이 들어봤는데 object는 생소할 수 있습니다 object는 명령을 실행할 때 사용되는 대상이 되는 객체를 나타냅니다. object에는 전체 정보를 의미하는 General의 g 네트워크의 연결을 의미하는 Connection의 c 관리하는 장치를 의미하는 Device의 d 가 있습니다. nm..
리눅스 ifconfig???? 네트워크 설정 명령어 ifconfig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ifconfig란??? Interface Configuration의 약자입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환경 설정을 수행하고 활성화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정보를 보여줍니다 ifconfig 명령어를 수행했을 때 실행이 되지 않는다면 net-tools 패키지를 설치해야합니다. 아래 그림에 나온 것들을 설명하자면 flags=4099 mtu 1500 4099는 플래그를 비트로 표현한 값으로 bit0, 1, 2는 1의 값을 가지므로 UP은 인터페이스는 활성화 상태, BRO 활성화, MULTI 활성화를 의미합니다 해당 NIC 설정은 docker의 설정임으로 아직 RUNNING상태는 아닙니다 mtu는 Maximum Transmission Unit의 약자로 일반적인 이더넷 ..
리눅스 네트워크 설정 파일 설명 enp0s8 IPADDR, NETMASK 등등 리눅스 네트워크 enp0s8 설정파일 설명을 시작해보겠습니다~! VirtualBox VM 기본 설정 NIC 파일 경로 cat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p0s8 위의 명령어를 입력하면 ifcfg-enp0s8이라는 파일의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설정 파일의 종류와 설명 네트워크 설정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만 집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TYPE # VM의 NIC 타입 BOOTPROTO # 수동으로 설정할 경우 none # 동적인 설정은 dhcp # dhcp란? 사설IP에 자동으로 IP를 할당해 주는 것 IPV6INIT # IPv6를 사용할 것인지 여부 NAME # 디바이스의 이름 UUID #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 범용 고유 식별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