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42)
리눅스 #! 셔뱅이란?? CLI #####. CLI_GUI #. CLI - Command LIne Interface란 뜻 - 리눅스와 같이 명령어 줄로 sh를 실행하고 kernel에 명령을 내리는 모드 #. GUI - Graphical User Interface란 뜻 - 마우스와 같이 가독성 좋고 편리한 방법으로 프로세스를 실행하거나 사용하는 것 #. script - Interpreter 방식의 동작을 의미 - interpreter는 명령을 한 줄 읽고 한줄 해석하고 하는 방식 - interpreter는 한줄 씩 읽어나가는 방식이기 때문에 오류 발견이 쉽고 이식성이 높습니다. - 예로 javascript_ python_ sql 등이 있습니다. - 정확하지만 느리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여기서 compile 방식에 대해 잠깐 얘기하자면..
Scouter APM 이해 WAS, Collector, Client 구성도 스카우터 Scouter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모니터링하는 도구입니다 WAS, CPU, MEM, DISK 등 상태 -> view서버에 전달합니다 오픈소스 APM (Application Performance Management) 스카우터 구성도 스카우터의 구성 Host.Agent OS의 CPU, Memory 등의 성능을 Data Server에 전송 Java.Agent Application의 Logic, DB Query 등의 성능, heap Memory 등의 정보를 Data Server에 전송 Data Server Agent들이 보내는 Log정보를 모아 두는 Server View Server 모아 둔 log 정보를 client Server는 툴을 이용하여 시각화 View Server의 정보
cgroup이란?? cgroup이란?? cgroup (Control groups) cgroup은 단일 또는 태스크 단위의 프로세스 그룹에 대한 자원 할당을 제어하는 커널 모듈입니다. 시스템상에서 계층적으로 정렬된 프로세스 그룹에 대하여 CPU사용율, 메모리 사용량, 네트워크 대역폭과 같은 리소스를 할당할 수 있는 리눅스 커널입니다. cgroup을 사용하여 시스템 관리자는 시스템 리소스에 대하여 할당, 할당 거부, 우선순위화, 모니터링 등 미세한 제어를 가능하게 합니다. systemd-cgtop 명령어로 cgroup에 속한 데몬의 CPU, Memory, I/O입출력에 대한 실시간 정보를 제공합니다. systemd-cgls (systemd Control Gruop LiSt) 해당 명령어를 사용하여 cgroup에 대한 계층적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