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2) 썸네일형 리스트형 리눅스 ss 명령어 사용법 및 이해 리눅스 ss 명령어 사용법 및 이해에 대해서 포스팅해보겠습니다. 우선 리눅스 ss 명령어는 netstat의 상위호환 버전입니다. CentOS 7의 경우 설치 방법은 iproute2 패키지를 설치하는 것입니다. 명령어로는 yum install -y iproute2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SS 명령어란??? 소켓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도구입니다. 앞서 설명 드렸듯이 netstat에서 제공하는 기능보다 더 많은 기능이 있어서 요즘에는 netstat보다는 ss를 권장하고 사용하라고 하는 입장입니다. ss 명령어의 형식 ss [options] [filter] ss 명령어의 옵션 옵션 설명 -t, --tcp TCP 소켓 정보만 표시 -u, --udp UDP 소켓 정보만 표시 -l, --listening 연결 대.. 리눅스 traceroute 명령어 사용법 및 이해 리눅스 traceroute 명령어 사용법 및 이해에 대해 포스팅 하겠습니다. traceroute는 네트워크의 패킷이 어떤 경로로 전송되는지 추적하기 위한 명령어 입니다!! traceroute 명령어의 형식 traceroute [ IP or hostname ] 위 형식의 명령어로 어떤 라우터를 거쳐서 해당 단말기까지 통신이 되는지를 출력합니다. traceroute 명령어의 옵션 옵션 설명 -I (대문자 i), --icmp ICMP echo 패킷을 사용하여 추적 -T, --tcp TCP SYN 패킷을 사용하여 추적 -U, --udp UDP 패킷을 사용하여 추적 -p, --sport TCP 또는 UDP 패킷을 보낼 때 사용할 소스 포트를 지정 -nm numeric 호스트 이름을 숫자로 반환하지 않고 IP 주소.. 리눅스 netstat 명령어 사용법 및 이해 리눅스 netstat 명령어 사용법 및 이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netstat란??? 네트워크 연결 정보, 라우팅 테이블, 인터페이스의 통계 정보, 마스커레이드 연결, 멀티캐스트 멤버십 등 다양한 네트워크 정보를 출력합니다. netstat 형식 netstat [options] netstat의 주요옵션 아래 표와 같이 많은 기능의 옵션을 담고 있습니다. 아래 표는 첫번째 옵션입니다. 예를 들면 netstat -r인 라우터 테이블 옵션과 c인 매초마다 출력하라는 결과를 합치면 아래와 같습니다 netstat -rc 옵션 설명 지정 안함 열려있는 소켓의 모든 정보를 출력 -r, --route 라우팅 테이블을 조회 -g, --groups IP를 위한 멀티캐스트 그룹 멤버십 정보를 조회 -i, --interf.. 이전 1 2 3 4 5 6 7 ···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