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리눅스 netstat 명령어 사용법 및 이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netstat란???
네트워크 연결 정보, 라우팅 테이블, 인터페이스의 통계 정보, 마스커레이드 연결, 멀티캐스트 멤버십 등 다양한 네트워크 정보를 출력합니다.
netstat 형식
netstat [options]
netstat의 주요옵션
아래 표와 같이 많은 기능의 옵션을 담고 있습니다.
아래 표는 첫번째 옵션입니다.
예를 들면
netstat -r인 라우터 테이블 옵션과 c인 매초마다 출력하라는 결과를 합치면 아래와 같습니다
netstat -rc
옵션 | 설명 |
지정 안함 | 열려있는 소켓의 모든 정보를 출력 |
-r, --route | 라우팅 테이블을 조회 |
-g, --groups | IP를 위한 멀티캐스트 그룹 멤버십 정보를 조회 |
-i, --interfaces | 모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출력 |
-M, --masquerade | - 마스커레이드 연결의 정보를 출력 - 하나의 공인 IP 주소를 여러 클라이언트가 사설 IP 주소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것을 마스커레이드라고 합니다. |
-s, --statistics | 각 프로토콜의 통계정보를 출력 |
첫번째 옵션 뒤에 붙는 옵션들입니다
netstat명령어를 사용함에 있어서 반드시 첫번째 명령어 뒤에 사용해야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netstat -utnl 이라는 명령어를 사용할 경우 현재 Listen 하고 있는 포드들의 정보를 알아낼 수 있습니다.
u :UDP 포트
t : TCP 포트
l : Listen 중인 포트
n : DNS로 변환하지 않은 숫자의 형태로 출력
옵션 | 설명 |
-v, --verbose | 풍부한 정보를 제공 |
-n, numeric | 주소를 숫자로 변환하지 않고 IP 주소와 포트 번호를 숫자 형식으로 표시 (네트워크 이름을 DNS로 변환하지 않음) |
-A, protocol=family | - 주소 패밀리를 지정 - 예를 들어, IPv6 주소 패밀리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려면 다음과 같이 명령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
-c, --continuous | 매 초마다 계속적으로 정보를 출력 |
-p, --program | 소켓과 연관된 프로그램 이름과 프로세스 아이디 (PID)를 출력 |
-l, --listening | Listen 소켓에 대한 정보를 출력 |
-a, --all | Listen 소켓과 Listen 소켓이 아닌 경우 모두 정보를 출력 |
-t | TCP 소켓의 정보를 출력 |
-u | UDP 소켓의 정보를 출력 |
-g | 멀티 캐스트 그룹 멤버십의 정보를 출력 |
반응형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ss 명령어 사용법 및 이해 (0) | 2023.08.01 |
---|---|
리눅스 traceroute 명령어 사용법 및 이해 (0) | 2023.08.01 |
리눅스 ip 명령어, ethtool 명령어, ping 명령어 사용법 및 이해 (0) | 2023.08.01 |
리눅스 arp 명령어 옵션 및 설명 (0) | 2023.08.01 |
리눅스 route 명령어 옵션 및 설명 (0) | 2023.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