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리눅스 route 명령어 옵션 및 설명

반응형
리눅스 route 명령어 옵션 및 설명을 포스팅해보겠습니다.

route란????

트워크 라우팅 정보를 표시하고 관리하는 명령어이고,
패킷이 출발지에서 목적지로 전송되는 경로를 결정하는 프로세스를 의미합니다.
네트워크 라우팅 테이블을 표시하거나 수정하는 데 사용되고,
네트워크 라우팅 테이블에는 여러 경로와 해당 경로를 사용하여 패킷을 어떻게 전송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됩니다.

 

route 명령어 옵션

route의 명령어 형식은
route [options]이고 주요 옵션은 아래와 같습니다.
옵션 내용
-n, --numeric IP주소를 숫자 형식으로 표시
default 또는 gateway같은 문자 => 숫자
0.0.0.0 또는 172.17.0.1
-e, --extend 라우팅 테이블의 추가 정보를 표시
-C, --cache 라우팅의 캐시 정보를 표시
-M, --masquerade 라우팅 테이블의 포스트로크 링크에서 네트워크 주소를 대표하여 표시
-F, --fib Forwarding information Base를 표시
-h, --help 도움말을 표시

 

 

route 테이블의 정보와 설명

route 명령어로 조회한 테이블 정보들의 구분과 설명입니다

구분 설명
Destination 목적지 호스트나 네트워크의 주소
Gateway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는 게이트웨이 주소
Genmask 패킷의 목적지 주소에서 네트워크 주소를 계산하기 위한 넷마스크 주소, 0.0.0.0 또는 *인 경우 내부 네트워크
Flags 라우팅 경로의 플래그
- U : 라우팅 정보가 유효
- H : 목적지가 호스트
- G : 목적지로 가려면 게이트웨이 경유 필요
- D : 데몬 또는 ICMP 리다이렉트 메세지를 통해 설치된 상태
- M : 데몬 또는 ICMP 리다이렉트 메세지를 통해 수정된 상태
Metric 목적지 호스트나 네트워크 도달하기 위한 비용을 숫자로 환산한 특정 값을 의미. 결국 라우터는 최적의 경로를 찾기 위해 Metric이 작은 값을 선택
Ref 경로를 참조한 횟수
Use 경로를 탐색한 횟수
Iface 목적지 네트워크나 호스트로 패킷을 내보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날도 더운데 다들 화이팅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