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2) 썸네일형 리스트형 리눅스 mkdir, rmdir, ls 명령어의 사용법 및 이해 리눅스 mkdir, rmdir, ls 명령어에 대해서 포스팅해보겠습니다. dir이란 directory 디렉토리의 약자로 사용됩니다. ls는 list를 약자로 사용합니다. mkdir 명령어의 사용법 mkdir은 make dirctory의 약자로 사용법과 옵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형식은 mkdir [option] [디렉토리 이름] 입니다. 옵션은 -p, --parents와 -m, --mode가 있고 각각은 해당 경로에 부모 디렉토리가 없으면 생성하고 허가권 설정 (chmod)의 명령어 형식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chmod 설정은 해당 블로그의 아래 링크를 따라가서 공부하시면 됩니다~!!! https://it-banana.tistory.com/43 리눅스 chmod, permission 아주 쉽게 이.. 리눅스 file link, hard link, symbolic link에 대해 알아보기!! 리눅스 file link, hard link, symbolic link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ink란 말 그대로 이어준다 라는 의미로 해석합니다~!! 링크에는 크게 2가지 hard와 symbolic (soft) link가 있습니다. hard link hard link란 동일한 파일 시스템 내에서만 생성할 수 있습니다. 디렉토리에는 링크할 수 없고 파일에만 링크할 수 있습니다. 하드 링크된 파일은 동일한 i-node 주소를 갖습니다. 같은 디렉토리 안에만 있어야 하기 때문에 링크된 파일을 다른 곳으로 옮기거나 삭제할 경우 참조할 수 없습니다. 의문점이 들어서 테스트를 해봤는데 hard 링크라는 것은 같은 inode 주소를 공유함으로써 수정된 내용을 공유하지만 하나가 삭제 되더라도 다른 하나는 삭.. 리눅스 chmod, permission 아주 쉽게 이해하기!! 리눅스 chmod, permission 허가권에 대해서 포스팅해보겠습니다. 허가권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ls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전에 다른 계정으로 포스팅한 내용을 가져와 봤는데 아래 링크를 살펴 보시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https://it-banana.tistory.com/42 리눅스 CLI란??? chmod란???? #!/bin/bash??? #####. CLI_GUI #. CLI - Command LIne Interface란 뜻 - 리눅스와 같이 명령어 줄로 sh를 실행하고 kernel에 명령을 내리는 모드 #. GUI - Graphical User Interface란 뜻 - 마우스와 같이 가독성 좋고 편리한 방법으로 프 it-banana.tistory.com 예제를 들어서 설명 .. 이전 1 2 3 4 ···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