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CNCF란?? 오픈 허브?? 알기 쉽게 풀어 쓴 개념

반응형

 

CNCF란??
Cloud Native Computing Foundation

 

위키 백과에서는 컨테이너 기술을 발전시키고 기술 산업의 진화를 지원하기 위해 2015년에 설립 된 Linux Foundation 프로젝트라고 한다.

 

sandbox, incubating , graduated라는 과정을 거치며 오픈허브로서 프로젝트를 안정화시킨다.

쉽게 보자면 프로젝트 오픈소스를 등록(SandBox)하면 개발자, 엔지니어들이 스스로 참여해서 프로젝트를 개발(Incubating)하고 사람들이 안정적으로 사용하고 널리 알려지면 졸업(Graduated) 시킨다는 의미를 갖는다.

 

여기서 오픈 허브란,

오픈소스, 자유소프트웨어, CopyLeft 등 IT서비스나 제품을 공짜로 쓰자!! 라는 개념이 아니라

"우리 다 같이 사용하고 불편한거 있으면 서로서로 고쳐서 나누자!! 그러다보면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이 풍요로워 질 것이다!!" 라는 의미로 대표적인 인물은 리처드 스톨만, 리누스 베네딕트 토발즈 등이 있다.

 

 

클라우드 네이티브 컴퓨팅의 벤더 중립적인 오픈소스 허브로 클라우드 네이티브를 보편적이고 지속 가능하게 만들기 위해 K8S(쿠버네티스)와 Prometheus와 같은 프로젝트를 양성한다.

 

위에 굵게 표시된 네모 박스에서는 CNCF에서 졸업시킨 프로젝트를 의미한다.

 

 

 

CNCF란 결국,

MSA(Micro Service Architecture) 환경에서 프로젝트를 보다 편리하고 쉽게 구축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여러 개발자, 엔지니어들이 자율적으로 CNCF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기여하는 단체인 것이다.

반응형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X Window  (0) 2023.07.19
CentOS 7 설치 VirtualBox7 다운로드부터 설치까지 차근차근!!  (0) 2023.07.19
도커 개요  (0) 2023.07.18
프로세스 개요  (0) 2023.07.18
리눅스 쉘 개요 및 이해  (0) 2023.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