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패킷의 교환방식 - TCP, UDP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패킷의 교환 방식
- 데이터를 일정 크기로 분할한 패킷을 송수신하는 교환 방식
- 패킷이 동시에 회슨을 공유하여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대역폭 이용 효율을 극대화
- 패킷을 생성하기 위한 헤더가 추가됨으로 오버헤드가 발생으로 인한 성능저하 우려
- 데이터그램 방식과 가상 회선 방식으로 구분
UDP - 데이터그램 방식
- 논리적 연결 설정 없이 패킷이 독립적으로 전송
- 하나의 메세지에서 분할된 패킷들은 여러 라우터를 거칠 떄 마다 경로 설정을 수행하여 전달
- 도착 순서가 패킷마다 다르고, 완전한 연결 구조가 아닌 방송 등에 적합
TCP - 가상 회선 방식
- 논리적 연결을 먼저 설정하고 데이터를 전송
- 경로 설정을 한번만 수행하고 분할 된 패킷은 동일한 경로를 통하여 전달
- 도착 순서가 정해진 순서대로 도착(신뢰성)
그림으로 쉽게 이해하는 TCP, UDP
설명
- TCP : 주황색은 가는 길을 정해 놓고 차례로 1, 2, 3을 보내고 마지막까지 1, 2, 3이 순서대로 오면 성공!!
- 중간에 하나라도 누락되면 다시 요청해서 완벽하게 받으면 성공!!
- 완벽하지 않으면 실패!!
- UDP : 초록색은 각각의 패킷이 그때 그때 빠른 경로를 찾고 각각 이동!!
- 목적지에서는 순서 없이 다 받고 완벽히 받지 않아도 받은 것만 저장!!
반응형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TCP의 3-way handShaking을 그림으로 이해해 보아요~!! (0) | 2023.07.31 |
---|---|
TCP / IP 프로토콜이란??? Syntax, Semantic, Timing (0) | 2023.07.31 |
인터네트워크 장비란???? 브릿지, 라우터, 리피터, 게이트웨이 (0) | 2023.07.31 |
OSI 7계층이란?? 패킷?? (0) | 2023.07.31 |
리눅스 #! 셔뱅이란?? CLI (0) | 2023.07.31 |